케이팝 (2) 썸네일형 리스트형 EXID의 역주행 현상, 그것도 음악계의 한 흐름이라고 봐야할까? 0. EXID 역주행 현상 EXID는 2012년에 유망한 걸그룹 아이돌로 주목을 받았다. 그해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에서 신인가수상도 수상하며 어느 정도 안정적인 궤도에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나 싶었다. 하지만 4개의 싱글과 하나의 미니 앨범이 발간되는 동안 인터넷에 간간히 인기를 끄는 섹시한 무대 영상을 제외하곤 가요계에 큰 파급력도 낳지 못했고, 그저 그렇게 있다 없어지는 많은 아이돌 그룹 중 하나가 되는가 싶었다. 아이돌 문화의 그늘로 대표격되는 주인공이 되었던 것이다. 그렇게 많은 이들에게 잊혀져가던 도중 하나의 사건이 발생했다. 2014년 8월에 멜론차트 95위에서 시작한 '위 아래'라는 곡이 12월에 1위를 달성하는 국내 가요계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이런 희귀한 사건의 배후엔 한.. 케이팝스타 홍찬미에 대한 유희열과 박진영, 양현석의 대화와 한국 음악계 인터넷 서핑 중에 우연히 보게 된 클립 영상이었다. SBS K-Pop스타에서 한 출연자가 JYP, YG의 강한 혹평을 얻어맞고 유희열로부터 와일드 카드(두 심사위원과 상관없이 다음 라운드로 넘어갈 수 있는 카드)를 받아 겨우 다음 라운드에 나가게 되는 장면을 담았다. 단순하게 이 영상은 유희열의 음악성과 지향하는 바가 대충 이러이러하구나하고 넘어갈 수 있는 장면일 수 있다. 하지만 이 짧은 클립엔 우리나라 음악계가 한눈에 잘 정리되어있다. K-Pop의 두 기둥이자, 홍찬미에게 불합격표를 던진 박진영과 양현석으로 대표되는 지배층. 그리고 그에 반해서 팬층이 그만큼 두껍지도 않지만 매니아층과 오랜 연식의 팬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유희열이 있다. 갑 먼저 큰 자본을 앞세워 우리나라 음악시장을 기형적인 엔터테.. 이전 1 다음